TIL

28 TIL 정리(서버리스 프론트엔드)

모_아이 2022. 5. 27. 00:34

Route53

네임서버(DNS:Domain Name Server)은 IP주소와 도메인 주소를 연결해주는 역할을 한다.

1. Route53을 생성

2. 가비아 네임서버 설정

3. Certificate Manager다시 생성

( 어제 공부 정리 마지막에 나온 *.도메인 과 그냥 도메인 둘다 적기)

4. 생성이 완료 됐다면 Certificate 인증서 페이지 안에서 어제 Cname 확인했던 곳에 Route53 레코드 생성이라 있는데 생성하기

5. 버킷 정책 편집 ( 버킷 정책 생성기를 통해 생성)

6. 인증서 검증 성공했다면 CloudFront 수정 

-어제 정리에 나온 https로 리다이렉트와 도메인과 인증서 재 설정

7. Route 53 레코드 생성

8. 네임서버 확인 명령어

 

AWS WAF

WAF를 먼저 만드는데 리소스 타입을 cloudfront로 선택하고 아래 associated에서 내가 도메인연결한 클라우드 프론트를 넣은 후 request sampling 에서 enable sampled requests 를 선택한다.

ipset을 통해 ip 차단 룰을 추가 할 수 있고 sql등 여러 동작에 관한 룰을 추가해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React

React 는 Virtal Dom으로 프론트엔드의 많은 발전을 이뤄냈는데 DOM(Document Object Model)이란 브라우저에서 HTML에 접근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다. 결국 브라우저가 HTML을 표현하려면 DOM을 가지고 표현하게 된다.

React는 Virtual DOM으로 변하는 부분만 실제 DOM에 적용하여 브라우저가 인식 할 수 있도록 한다.

 

반응형